로그인

간편회원은 볼 수 없습니다.
회원정보를 입력해주세요.

회원정보 수정
운서역점 032-575-3100 (운서역 2번 출구 앞) 하늘도시점 032-751-5599 (하늘도시 만수채 건물 1층)

영종도 뉴스

인천만 조력발전소

  • 0

 

인천만 조력발전 조감도 - 밀물 때 물을 가뒀다가 썰물 때 방조제 하부 수문을 열면 쏟아지는 물이
터빈을 돌려 에너지를 만드는 방식이다. 현지 주민들은 지역경제 활성화에 도움이 될 것이라며
반기고 있지만, 어민들과 시민ㆍ환경단체들은 환경파괴 등을 이유로 반대하고 있다.
<<한국수력원자력 제공>> 2012.7.4 


강화ㆍ옹진군 주민 "지역발전 위해 조속 추진해야"

어민, 시민ㆍ환경단체 "강화해역 순식간 폐허될 것"

인천만 조력발전소 건설을 둘러싼 논쟁이 인천을 뜨겁게 달구고 있다.

강화군과 옹진군 주민들은 인천만 조력발전 사업이 지역 경제를 활성화하는데 기폭제 역할을 할 것이라며 조속한 사업추진을 주문하고 있다.

반면 시민ㆍ환경단체들은 해양 생태계 변화에 따른 환경 파괴를 우려하고 있다. 지역 어민들도 수질 오염과 갯벌 잠식으로 인해 삶의 터전을 송두리째 뺏기게 될 것이라며 강하게 반발하고 있다.

◇ "지역발전 vs 환경파괴"..민(民)-민(民) 갈등 첨예

인천만 조력발전소는 밀물과 썰물을 이용해 전력을 생산하는 시설로 강화도 남단, 장봉도, 영종도를 잇는 방조제 하부에 건립될 예정이다.

3만KW급 수차발전기 44기가 설치되고 총 발전 용량은 132만KW로 세계 최대 규모가 될 것이라는게 사업 담당기관인 한국수력원자력㈜ 측 설명이다.

인천만 조력발전소 건립을 둘러싼 강화군과 옹진군 주민들의 입장은 극명하게 엇갈린다.

우선 발전소 건립에 찬성하는 주민들은 이 사업이 지역경제 활성화와 일자리 창출 효과를 가져와 지역 발전을 이끄는 견인차 역할을 할 것이라고 기대한다.

특히 공항을 안고 있는 영종도가 방조제를 따라 강화도와 연결됨으로써 강화도의 접근성이 획기적으로 개선돼 관광수입이 크게 늘어날 것이라고 주장한다.

`인천만 조력발전소 유치 추진 협의회'의 양도면 대표 정승길씨는 "강화도는 천혜의 관광자원을 보유하고 있지만 강화도 연결도로에서 교통체증이 극심해 여행객 유치에 어려움을 겪어왔다"며 "방조제로 강화도가 다른 섬들과 이어지면 접근성이 좋아져 관광객들이 크게 늘어날 것"이라고 말했다.

주민들이 조력발전 사업을 지역경제 부흥의 돌파구로 삼으려는 배경에는 재정난에 시달리고 있는 인천시에 대한 불신도 크게 작용하고 있다. 인천시에 의존하느니 조력발전 프로젝트를 통해 지역의 실익을 챙기겠다는 포석이다.

협의회 회장을 맡고 있는 김선흥 전 강화군수는 "1995년 강화군이 경기도에서 인천시로 편입됐지만 시로부터 균형발전의 혜택을 입었다고 볼 수 있는 결과물이 거의 없다"며 "신재생에너지를 중용하는 세계적 트렌드를 고려하더라도 조력발전 사업은 조속히 추진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러나 강화군 어민들은 조력발전소가 건립되면 생태계 교란은 물론 갯벌이 잠식돼 어족자원이 고갈될 것이라며 조력발전 사업에 강한 거부감을 나타내고 있다.

강화지역조력반대 경인북부어민대책위원회 박용오 위원장은 "방조제가 들어서면 수온과 염도가 달라지고 조류도 약해져 생태계가 엄청난 타격을 입게 될 것"이라며 "지역 어민 1천여 명의 생존권이 달린 문제인 만큼 발전소 건립계획은 철회돼야 한다"고 밝혔다.

시민ㆍ환경단체들도 조력발전 사업이 습지보호구역인 장봉도 갯벌과 세계 5대 갯벌로 꼽히는 강화 일대 갯벌을 망가뜨리는 결과를 초래할 것이라며 사업 철회를 촉구하고 있다.

환경단체들은 조력발전이 이뤄지고 있는 시화호에서도 녹조현상과 해파리떼 기승 등 각종 환경피해가 현실로 드러나고 있다며, 인천만 조력사업은 강화해역을 순식간에 폐허로 만들 것이라고 경고한다.

인천환경운동연합 이혜경 정책실장은 "조력발전 사업은 우리나라에서 가장 온전하게 보전되고 있는 강화해역의 엄청난 가치를 무참하게 짓밟게 될 것"이라며 "정부는 인천만 조력의 타당성에 대해 더욱 면밀하게 검토해야 한다"고 말했다.

조력발전을 둘러싼 찬반 논쟁이 가열되면서 주민 사이에 갈등의 골도 깊어지고 있다.

유치협의회가 지난 5월 주민 2만1천여 명의 서명을 담은 청원서를 인천시와 시의회에 제출하자, 어촌계와 환경단체로 구성된 `인천만조력댐 반대 연석회의'도 비슷한 수의 서명을 담은 청원서를 같은 기관들에 제출하기도 했다.

◇ 강화ㆍ옹진군 `찬성', 인천시 `반대'


인천만 조력발전 조감도 (인천=연합뉴스) 인천만 조력발전 조감도. 3만KW급 수차발전기 44기가 강화도, 장봉도, 영종도를 잇는 방조제의 하부에 건립된다. 총 발전 용량은 132만KW로 세계 최대가 될 전망이다. 현지 주민들은 지역경제 활성화에 도움이 될 것이라며 반기고 있지만, 어민들과 시민ㆍ환경단체들은 환경파괴 등을 이유로 반대하고 있다. <<한국수력원자력 제공>> 


조력발전 사업을 둘러싼 논쟁은 인천의 정치권과 관가로까지 번지고 있다.

옹진군과 강화군은 각각 지난 5월과 6월 인천시에 건의서를 보내 조력사업을 조속히 추진할 것을 촉구했다.

이들 군(郡)은 어민 피해보상에 대한 협의가 선행돼야 한다는 조건을 달면서도 지역경제 활성화를 위해 인천만 조력사업이 조속히 추진돼야 한다는데 뜻을 모았다.

여기에 인천시의회 일부 의원들이 조력발전 사업을 긍정적으로 검토할 것을 시에 주문하면서 논쟁은 가열되고 있다. 인천시의회가 지난 2010년 환경파괴가 우려된다며 조력발전 사업에 반대하는 결의문을 채택한 것과 대조되는 행보다.

이런 가운데 이 사업의 키를 쥐고 있는 인천시는 이 사업에 반대 입장을 명확히 하고 있다.

송영길 인천시장은 지난 2일 시의회 시정질의에 참석, "주민 다수가 찬성하고 지역경제 활성화에 도움이 되더라도 해양환경변화에 따른 제반 문제점이 충분히 검토되지 않는 이상 반대 입장에는 변화가 없다"고 단언했다.

인천시의 반대 기조가 확고할 경우 인천만 조력발전 사업은 기획단계에서 답보상태를 면치 못할 가능성이 크다.

국토해양부의 사업 인ㆍ허가에 앞서 중요한 단계가 관계부처 협의 과정인데 해당 지자체의 강한 반대를 무릅쓰고 사업을 추진하기란 어렵기 때문이다.

◇ 인천만 조력발전 사업은

인천만 조력발전 사업은 저탄소 녹색성장 구현을 위한 국가에너지 기본계획에 따라 2006년 인천만조력 실용화 기술개발 연구를 시작으로 토대가 마련됐다.

사업 주체인 한국수력원자력㈜에 따르면 3만KW급 수차발전기 44기가 강화도, 장봉도, 영종도를 잇는 방조제의 하부에 건립된다. 총 발전 용량은 132만KW로 세계 최대가 될 전망이다.

발전 방식은 단류식 낙조발전식이다. 밀물 때 물을 가뒀다가 썰물 때 방조제 하부 수문을 열면 쏟아지는 물이 터빈을 돌려 에너지를 만드는 방식이다.

방조제는 강화 남단 동측과 영종도를 연결하는 동측방조제(5.8km), 강화 남단 서측과 장봉도를 잇는 서측방조제(7.3km), 장봉도와 영종도 서북부를 잇는 남측방조제(5.2km) 등 3개가 건설될 예정이다.

현재 계획으로는 국토부 인ㆍ허가를 얻게 되면 2014년 1월부터 2019년 12월까지 공사가 진행될 예정이다. 총사업비 3조9천억원이 필요한 대형 프로젝트다.

인천만 조력발전소가 본격 가동되면 연간 24억1천400kwh의 전력을 생산하게 된다. 이는 우리나라 전체 가정용 전력소비량의 4.5%, 인천지역 가정용 전력의 60%에 이르는 양이다.

그러나 환경단체들은 시화조력발전소의 발전량도 당초 목표치의 69.8%에 불과한 형편이라며, 한국수력원자력의 발표 수치대로 발전량이 나올지는 미지수라는 입장이다.
 
 
연합뉴스 (2012-7-4)
 
 
 

부정클릭 감시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