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

간편회원은 볼 수 없습니다.
회원정보를 입력해주세요.

회원정보 수정
운서역점 032-575-3100 (운서역 2번 출구 앞) 하늘도시점 032-751-5599 (하늘도시 만수채 건물 1층)

영종도 뉴스

세계 5위 인천공항 '올해 포화' 2터미널 확장ㆍMRO단지 '시급'

 

드골공항과 창이공항 제치고 6800만명 돌파
중국ㆍ베트남 비자면제 확대 등 개선책 시급



국제여객 6700만명 돌파하며 세계 5위 공항 등극


인천국제공항이 프랑스 파리 샤를드골공항과 싱가포르 창이공항을 제치고 2018년 국제여객 기준으로 '세계 5위' 공항에 올랐다.

국제공항협의회(ACI)가 19일 발표한 '2018년도 세계 공항 실적 보고서'를 보면 인천공항은 지난해 국제여객 6768만명을 기록하며 샤를드골공항(6638만명), 창이공항(6489만명)을 앞섰다. 세계 5위 진입은 인천공항 개항 이후 처음이다.

인천공항은 지난 2001년 3월 개항 이후 2002년 국제여객 2055만명을 기록하며, 세계 10위에 진입한 뒤 이후 연 평균 7.7%의 성장률을 기록하며 지난해 6800만명에 육박했다.

지난해 평창동계올림픽 개최와 항공노선 확대, 저비용항공사(LCC) 성장이 여객 증가를 견인한 것으로 풀이된다. 특히, 전체 이용객의 30%를 차지하는 LCC 이용객은 지난해 2077만명을 기록하면서 처음으로 2000만명을 돌파했다.

인천공항은 국제화물 물동량 286만톤을 처리하며 홍콩 첵랍콕공항(502만톤), 중국 상하이 푸동공항(291만톤)에 이어 세계 3위를 차지했다.

인천공항공사는 여객처리 포화상태에 이르렀다가 지난해 1월 제2여객터미널 개장으로 여객수용능력이 연간 5400만 명에서 7200만 명으로 증가하면서 터미널 혼잡이 완화됐고 출국시간이 단축됐다.

공사는 4단계 공사(제2여객터미널과 확장과 4활주로 신설) 통한 인프라 확장과 서비스 개선을 추진해 연간 국제여객 1억 명이 이용하는 탑(Top)3 공항으로 도약하겠다고 밝혔다.

그러나 인천공항의 이 같은 목표를 달성은 당장 올해부터 차질이 우려된다. 인천공항의 여객처리 능력은 7200만명인데, 지난해 국내선 여객 58만명을 포함해 6826만명을 기록했다. 연평균 증가율 7.7%를 단순 적용해도 올해 7351만명으로 포화상태에 이를 전망이다.

정부와 공사는 2023년 준공을 목표로 제2터미널 확장과 제4활주로를 신설하는 4단계 공사를 진행 중이다. 2터미널이 확장되면 연간 수용 능력은 현재 1800만명에서 4600만명으로 늘어나, 전체 여객처리 능력은 7200만명에서 1억명으로 증가할 전망이다.

그러나 인천공항은 당장 올해부터 포화상태에 이를 전망이고, 2터미널 확장까진 4년이나 남았다. 공사가 스마트 서비스(셀프 체크인, 자동 수하물 위탁 등)와 출입국 무인심사대를 확대 배치해 대응해도 한계가 있기 마련이라 4단계 공사를 앞당기고, 5단계(저비용항공사 전용 터미널) 준비하는 게 요구된다.

인천공항공사는 과거 제2여객터미널 개장을 준비할 때 2015년 4500만 명, 2017년 5000만 명, 2020년 6000만 명에 이를 것이라고 전망했지만, 모두 빗나갔다. 2020년 6000만 명을 전망했지만, 인천공항은 3년 빠른 2017년에 6100만 명을 넘어섰다.


인도, 베트남, 몽골로 비자면제 확대 ‘과제’

인천공항 여객은 지속적으로 증가할 전망이다. 인천공항의 가장 많은 노선은 중국 노선인데 비자 면제 확대와 한ㆍ중 항공자유화 등이 시행되면 더욱 늘어날 전망이다.

특히, 현재 중국의 여권 발급율이 6~7% 정도인데 10%, 30% 수준으로 증가할 경우 여객이 비약적으로 증가할 전망이라, 이에 대응한 인프라구축이 요구된다.

인천공항의 지속가능한 성장은 비자 면제가 핵심이다. 비자면제는 사증 없이 일반 여권만으로 일정기간 자유롭게 입출국이 가능한 제도인데, 중국과는 아직이다. 한국과 일본 사이엔 비자 없이 여권만으로 입출국이 가능하다.

한국과 러시아 사이에도 2014년 1월 비자면제 협정이 발효됐다. 한ㆍ러 비자면제 협정 발표 후 인천공항의 러시아 노선 입출국 여객 수는 2013년 57만 명에서 2014년에 67만4000명으로 약 18% 늘었다.

한ㆍ중 비자면제 협정은 한ㆍ러 비자면제 협정보다 더 큰 파급효과를 불러일으킬 것으로 예상된다. 비자면제로 여객 수가 늘면 관광산업은 물론, 항공편 증대로 항공운송 산업과 항공정비 산업도 활성화될 전망이다.

한ㆍ중 비자면제와 더불어 남방으로는 베트남, 인도와 비자 면제 협정을 추진하고, 북방으로 몽골과 비자면제를 추진하는 방안이 요구된다. 베트남은 비자면제이긴 하지만 기간이 15일이라 30일 이상으로 확대하고, 캄보디아와 인도, 몽골은 중국처럼 아직 없기에 비자면제 협정이 요구된다.

특히, 향후 경제가 비약적으로 발전할 인도에 항공노선을 개설해 현재 2개에서 30여개로 늘리고, 인도차이나반도의 핵심 국가인 베트남도 노선을 현재 5개에서 베트남 국제공항 12개로 확대하는 방안이 필요하다.


인천공항, 정비단지 부족해 여객 늘며 결항도 늘어

인천공항이 목표대로 여객 1억 명 시대를 맞이하면, 항공편이 연간 34만 편에서 60만 편으로 늘어나고, 항공노선도 270여개로 늘어날 전망이다. 연간 60만편이면 하루 1600편 이상이다.

이 경우 핵심 문제는 항공안전이다. 그런데 인천공항의 정비로 인한 지연ㆍ결항을 연도별로 보면, 2013년 547건ㆍ36건, 2014년 688건ㆍ47건, 2015년 723건ㆍ54건, 2016년 773건ㆍ56건, 2017년(9월 기준) 631건ㆍ45건으로 해마다 늘었다. 여객은 늘었지만 정비인프라 투자가 없어 나타난 결과로 풀이된다.

우리나라 대형 항공사(FSC)인 대한항공과 아시아나항공은 인천공항 안에 자체 정비시설을 갖추고 있다. 하지만 외국 항공사나 최근 급증하고 있는 저가 항공사(LCC)를 위한 정비시설은 턱없이 부족하다.

인천공항의 항공기 정비 문제의 심각성은 2012년 이후 도착 편보다 출발 편 결항이 많아졌다는 데 있다. 2010년 출발 편 중 정비로 인한 결항률은 3.9%였고, 도착 편 정비결항률은 8.3%였다. 그러나 2013년부터 출발 편 결항률이 도착 편 결항률보다 높아졌다.

2016년 상반기 기준 출발 편 정비결항률 23.5%, 도착 편 정비결항률 18.2%로 그 격차가 5.3%포인트까지 벌어졌다. 아울러 결항 편수도 더 많아졌다. 인천공항에서 출발 편 정비서비스가 제대로 공급되지 못하고 있음을 방증한다.

현재 인천공항 정비시설은 대한항공 격납고 1개, 아시아나항공 격납고 2개, 샤프에비에이션케이 격납고 1개다. 현재 격납고 부지에선 확장이 어려운 만큼, 제4활주로 인근 부지에 정비단지를 조성하는 게 과제다.

정부는 지난 2009년에 인천공항 4활주로 인근 114만㎡(약 35만평)를 항공정비 특화단지로 고시했다. 인천공항공사는 공항 4단계 계획에 정비단지 조성을 반영했다. 하지만 정부 정책에 막혀 여전히 답보상태다.

대신 국토부는 2017년 12월 한국항공우주산업(KAI)을 정부 지원 MRO 사업자로 선정했다. 정부는 3397억원을 투입해 사천에 항공 국가산업단지(164만 1798㎡)를 조성할 예정이다. 정부는 1억명 시대를 열겠다면서 인천공항의 정비는 외면한 채 여객규모가 인천공항의 0.2%에 불과한 사천공항을 적극 지원하기로 했다.

인천시와 인천공항공사가 지난해 8월 협약을 맺고 인천공항 항공정비(MRO)단지 조성 등 공동 협력관계를 유지하기로 했다. 인천공항 여객이 증가하며 정비 인프라 부족으로 결항이 증가하고 있어 정비단지 조성이 시급하다.
 
 
출처 : 인천투데이
 

부정클릭 감시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