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

간편회원은 볼 수 없습니다.
회원정보를 입력해주세요.

회원정보 수정
운서역점 032-575-3100 (운서역 2번 출구 앞) 하늘도시점 032-751-5599 (하늘도시 만수채 건물 1층)

영종도 뉴스

2030 인천도시기본계획 '350만 메가시티' 이끈다

  • 0

 
인본주의 바탕 '국제·문화·관광도시' 독창성·매력 창출
비현실적 개발 축소 … 경인고속도 지하화·7호선 연장도

 

▲ 인천시가 '2030 도시기본계획'을 통해 미래의 인천을 꿈꾸고 있다. 시는 최근 공청회를 통해 기본계획안을 발표하고 '350만 메가시티'로 나아간다는 구상을 밝혔다. 사진은 인천발전연구원이 개최한 시민공청회 모습.


인천시가 '2030 인천도시기본계획'을 통해 새로운 도약을 준비하고 있다. 2030년까지 '사람 중심의 국제·문화·관광도시'로 거듭나기 위한 계획이다. 계획대로 실현된다면 인천은 인구 350만명의 거대도시지역(Mega City Region·메가시티)으로 거듭날 것으로 보인다.

이번 2030계획은 지난 2025 계획보다 계획인구가 10만명 늘었고, 공간 구조도 기존 '3주핵-4부핵-7생활권'에서 '4도심-3부도심-7생활권+3광역생활권'으로 재편되는 등 시대의 흐름에 따른 변화가 다수 반영됐다. 전체적으로 개발 대상 면적을 일부 축소하는 대신, 내실을 기하는 내용도 포함돼 있다. 이 밖에도 생활권을 공유하는 인접 지방자치단체와 함께 발전하는 방안도 제시돼 있다.  

▲2030년 인천의 미래 그린다 

시는 지난해 시민과 전문가 100명으로 이뤄진 '도시기본계획 시민계획단'의 제안에 따라 '사람 중심의 국제·문화·관광도시'를 2030년 인천의 미래상으로 확정했다.
 

사람 중심이란 시민의 눈높이에서 도시정책과 계획을 수립하고, 모든 정보를 시민의 참여 속에서 투명하게 공개하며, 인본주의에 바탕을 둔 휴먼시티(Human City)를 지향한다는 뜻에서 나온 문구다.  

국제·문화·관광도시는 관문도시 인천이 국제교류와 다문화 정책을 선도하는 동시에 세계인이 찾아오는 독창적이고 매력적인 도시를 조성하자는 뜻에서 선정됐다.

이번 2030계획에서 제시한 계획인구는 2030년 기준 총 350만명이다. 계획인구는 도시의 개발 규모를 가늠할 수 있는 중요한 지표다. 기존 2025계획의 340만명보다 10만명 더 늘린 규모다. 시는 2030년까지 자연 인구 증가 12만명, 사회적인구 증가 40만명을 기초로 했다고 설명하고 있다.  

시는 이 밖에도 1가구당 인구를 현재 2.6명에서 2030년 2.35명으로, 고용률을 63%에서 70%로, 대중교통 분담율을 41.6%에서 48%로 높이는 등 다양한 목표를 제시하고 있다.

▲신도심-원도심 묶는다 



2030계획의 공간구조는 기존과 달리 신도심과 원도심을 묶는 구조로 이뤄져 있다. 4도심으로는 동인천·구월, 청라·가정, 부평·계양, 송도·연수가 선정됐다. 이는 인접한 신도심과 원도심이 상호연계를 통해 기능을 강화하고, 균형발전을 도모하기 위한 결정으로 해석된다.

3부도심은 영종, 소래·논현, 검단이다. 이 밖에도 강화, 길상, 오류, 검암, 가좌, 용현, 만수, 서창, 옹진 등 9개 지역중심을 선정했다. 

도시의 발전축은 총 4개로 이뤄져 있다. 원도심을 관통하는 영종-동인천-구월-부평-부천-서울은 도시재생축으로, 일산-검단-청라-동인천-송도-안산은 미래성장축으로 지정됐다.

국제공항과 항만을 잇는 중국-영종-청라-검암-계양-서울은 국제기반축, 남북관계 개선과 함께 발전의 핵으로 떠오를 개성-강화-길상-영종-송도-안산 지역은 평화벨트축으로 선정됐다.

▲7개 중점전략 시행된다 

시는 각 분야별 중점전략을 세운 상태다. 먼저 도시·주택 분야에서는 원도심 특화 맞춤형 개발과 1인가구 및 고령친화형 거주공간 조성, 시행 가능성 없는 대규모 개발사업 축소, 입지규제최소구역제도 활용 등이 제안됐다. 원도심 특화 맞춤형 개발로는 개항창조도시와 같은 도시재생전략이 제안되고 있다. 

안전·환경 분야로는 특화공원 조성, 생태하천 조성, 기후변화 대비 및 안전예방대책 수립, 민간공원 활용, 해안선개방 및 친수공간 조성 전략이 있다. 특화공원으로는 소래습지 생태공원 확장 사업이 추진된다. 수도권매립지에서 청라, 북항, 송도 일대의 해안선을 막고 있는 군 철책을 걷어내는 계획도 수립되고 있다. 인천을 둘러싼 해안 철책선(육지·철거 가능지역 기준)은 총 51.2㎞에 달한다. 

산업·경제 전략으로는 공항·해양·경제자유구역의 특성을 살린 정책들이 제시됐다. 노후산업단지를 혁신산업단지로 개편하는 구조고도화 사업이나 경제자유구역 및 항만·마리나 개발 등이 있다.

명품섬·가고 싶은 섬 조성, 관광자원 활성화, 해양관광도시 조성, 수도권매립지 시민여가공간 조성 등 문화·관광 전략도 함께 추진될 예정이다. 이 밖에도 교통·물류분야의 경인고속도로 지하화 및 해양물류시설 세계화, 복지·의료분야의 생애주기별 맞춤형 사회복지 정책, 교육 분야의 다양한 교육의 질적향상 등이 중점 전략으로 선정됐다.  

▲개발 면적은 줄인다 

그동안 인천은 '공사판'으로 불릴 정도로 다양한 개발사업이 추진돼 왔다. 하지만 비현실적인 계획 때문에 지역주민들이 피해를 입는 사례가 종종 발생했다. 시는 이번 2030계획에서 과도한 개발 사업들을 일부 줄이기로 했다. 대표적인 제외 사업으로는 용유무의 관광단지 개발사업이 있다. 무려 58.535㎢에 해당하는 면적이 사업 대상에서 제외됐다.

전체적으로는 기존 계획대상 면적이 1439.349㎢에서 1381.104㎢로 줄었다. 세부적으로는 시가화용지가 287.997㎢에서 277.338㎢로 10.659㎢ 줄었다. 시가화 용지 중에서도 주거용지가 11.744㎢ 축소된 것으로 나타났다. 향후 개발 대상이 될 시가화 예정용지도 125.405㎢에서 86.961㎢로 38.443㎢ 축소된다. 

7호선 연장하고 송도인입철도 만들고 

철도체계에도 일부 변화가 생긴다. 시는 이번 2030계획을 통해 인천남외항 인입철도 계획을 일부 변경하기로 했다. 송도신항에서 수인선까지 연결하는 철도다.

이 철도는 신항 물동량을 내륙으로 원활하게 이송하기 위한 핵심 철도다. 서울도시철도 7호선은 온수역에서 청라국제도시역까지 연장하는 방안이 추진될 전망이다. 현재 7호선은 석남 연장이 확정돼 공사 중에 있다. 광역도로로는 검단-공촌IC-가좌IC-장수IC에 이르는 검단-장수간 도로가 새롭게 포함됐다.  

▲7개 생활권·3개 광역생활권 설정한다 

시는 중부생활권, 남부생활권, 서북생활권, 동북생활권, 영종생활권, 강화생활권, 옹진생활권 등 7개 생활권을 설정했다. 자연·물리적 환경과 도시공간구조, 토지이용, 성장과정, 지리적 여건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한 결정이다.  

 


중부생활권은 개항역사문화자원을 활용한 원도심 활성화, 남부생활권은 산업간 융복합을 통한 국제경쟁력 강화, 동부생활권은 산업단지 구조고도화 및 아라뱃길-계양산-부평에 걸친 역사·문화관광벨트 등의 발전 전략이 설정됐다. 

이 밖에도 검단·김포, 부평·부천, 소래·시흥 등 3개 광역생활권 설정을 통해 인접자치단체와 함께 발전하기 위한 전략도 세워졌다. 
 
 
출처 : 인천일보
 
 
 

부정클릭 감시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