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

간편회원은 볼 수 없습니다.
회원정보를 입력해주세요.

회원정보 수정
운서역점 032-575-3100 (운서역 2번 출구 앞) 하늘도시점 032-751-5599 (하늘도시 만수채 건물 1층)

영종도 뉴스

인천공항 지금이 기회다

  • 0

 
 
MRO·배후물류단지 … 허브공항 날개 펼쳐라
 

▲ 인천공항 전경 /사진제공=인천공항공사


김해공항 확장 … 인천공항 변화 필요 
안전 직결 MRO 조성 필수 과제 
하늘도시 유보지 물류단지 최적 
연륙교 건설·공항철도요금 인하 
市 지분 확보 안정적 경영 필요
 

한국의 항공 정책은 '선택과 집중'일까. '균형 발전'일까. 10여년 논란의 종지부를 찍은 동남권 신공항 백지화를 놓고 한국을 넘어 동북아, 세계 항공 시장은 혼란에 빠졌다. 과연 한 나라의 항공 정책이 균형 발전의 대상이 될 것이냐. 아니면 선택과 집중을 통해 국가 기간 산업을 키울 것이냐.  

이 두 가지 패러다임을 놓고 논란은 뜨겁다. 정부는 동남권 신공항에 대해 "김해공항 확장은 사실상의 신공항이다. 김해공항이 동남권 신공항이 되는 것은 신공항 수준으로 확장한다는 것"이라고 발표했다.  

인천국제공항은 '허브 공항'으로 탄생했다. 포화 상태에 빠진 김포공항을 대신해 한반도 관문이자, 동북아 허브 공항으로 자리매김 하기 위해 단군 이래 최대 토목 공사로 진행됐다. 환적·환승이 인천공항의 처리 능력을 상회할 위기 때마다 정부는 늦게나마 확장 공사를 벌였다. 최근 끝난 3단계 공사를 넘어 인천공항은 자체적 장기 계획을 마련하고 4단계 확장 사업을 준비 중이다.

인천을 비롯해 항공 전문가들은 인천공항에 대한 '선택과 집중'을 논한다. 그리고 인천공항에 대한 서브 공항이 필요할 것이라며 동남권 신공항에 대해서도 반대 여론은 크지 않다. 정부가 동남권 신공항에 대한 '확장'을 통한 '신공항' 개념을 끌어 들인 만큼 인천공항도 그에 맞는 확장을 서둘러야 한다.  

과거와 현재 수송적 개념의 공항은 '미래' 사회에서 에어로폴리스(Aeropolice, 공항을 중심으로 경제, 인프라 등이 배치·설계된 도시)로 변하고 있다. 또 저비용 항공 증가에 따른 항공교통 대중화도 가속화되는 상황이다.  

인천공항도 이에 맞는 재편을 서둘러야 한다. 허브 공항의 필수 조건인 MRO(항공정비·Maintenance, Repair and Overhaul) 단지 조성을 비롯해 저비용 항공 터미널 신설, 항공물류단지 확장 등 끝없는 과제가 산적해 있다. 동남권 신공항에 대한 잘잘못을 뒤로 하고, 인천공항에 대한 시대에 맞는 변화와 발전을 서둘러야 한다.  

MRO를 허(許)하라  

급한 게 항공정비특화단지를 조성하는 것이다.  

우리나라 항공운송산업은 세계 8위 수준이다. 하지만 이를 뒷받침하는 항공 정비 산업은 약 50%(연간 약 1.3조원)를 해외에 의존하고 있다. 특히 세계 항공사들이 허브 공항의 필수 조건으로 MRO 단지를 꼽는다. 아직 인천공항에는 이렇다할 MRO 단지가 조성되지 못했다.

인천시는 "국가 항공안전 경쟁력은 정밀한 항공정비지원체계가 근원이다"며 "항공정비산업은 연평균 5.4% 성장과 양질의 일자리 창출이 가능하다"고 전망했다.

특히 항공정비는 '안전'과 직결된다. 연 초 인천공항은 세계 신뢰도에 흠집이 났다. 안전 관련 적신호가 켜지며 비행기가 연착되는 위기까지 발생했다. 2011년 6%에 불과한 인천공항 항공기 정비 결항율은 2015년 1~3월 26%까지 뛰었다. 

여기에 우리나라 항공정비 산업이 뒷걸음 칠 때 주변국들이 틈새 시장을 치고 들어왔다. 실제 중국, 대만, 싱가포르를 비롯해 말레이시아, 터키 등의 항공정비산업은 이미 우리나라 수준을 넘었다.  

문제는 정부가 항공에 대해서도 균형 발전을 앞세우며 인천을 외면하고 청주와 사천을 중심으로 항공정비산업을 기획하고 있다는 점이다.  

시와 인천공항은 "항공정비산업은 항공기 운항의 안전과 직결되고, 해외 외주는 자국항공기 운항 안전을 외국에 맡기는 것"이라고 경고했다. 또 "항공운송산업의 선제적 체질개선 없이는 해운산업, 조선산업 등과 같은 구조조정 상황에 봉착할 가능성이 크다"고 지적했다.

이에 "단기간에 경쟁국 수준을 따라 잡기 위해서는 수요가 있는 곳에서 원하는 기업이 당장 사업을 진행할 수 있어야 한다"는 입장을 나타냈다.  

정부는 이미 인천공항 주변에 항공정비단지 약 114만㎡를 지정했다.

인천공항 배후물류단지 
 

환적·환승이 원활히 이뤄지는 곳을 허브 공항이라 칭한다. 환적과 환승이 잘되기 위해서는 배후물류단지를 갖춰야 한다. 물건과 사람을 실어 나를 공간이 없고, 공항을 통해 원활히 물류가 유통되지 않으면 더 이상 허브 공항 지위를 잃게 된다. 지금 인천공항의 위기가 찾아왔다.

인천공항은 국제항공물류 처리 세계 2위로 최고 경쟁력을 보유하고 있다. 하지만 배후물류단지 1단계 입주율은 93.4%로 포화상태에 이르고, 2단계 역시 77.3%가 찼다.

인천공항은 인천시에 배후물류단지 남측에 있는 하늘도시유보지 개발을 요청한 데 이어 화물터미널 개발 예정지를 축소하고 배후물류단지 개발 구상을 동시에 벌이고 있다.

시는 기존 물류단지를 확장하는 것은 "석산 개발로 인한 비용, 시간, 민원 등이 발생한다"며 "화물터미널 예정지는 향후 인천공항 확장성 측면에서 추진되면 안될 정책이다"고 분석했다. 사실상 하늘도시유보지가 배후물류단지 최적지 인 것이다.  

시는 정부에 "하늘도시유보지를 조기개발해 항공배후물류단지의 직접 연계 개발이 가능한 하늘도시 유보지 일부를 조기 개발해야 한다"며 "정부가 하늘도시유보지는 공항구역이 아님을 이유로 소극적으로 대처한다"고 꼬집었다.  

인천공항 접근성을 높여라  

인천공항 접근로는 두 개다. 북측 영종대교와 남측 인천대교 뿐이다. 여기에 영종대교와 함께 설치된 공항철도가 있다.  

시는 제3연륙교 건설을 서두르고 있다. 영종하늘도시와 청라지구를 연결하고, 비상시 인천공항과의 연결로가 필요하다는 이유에서다.  

하지만 국토교통부는 '정시성'을 앞세우며 "영종대교와 인천대교가 민간자본으로 건설된 만큼 보존을 해줘야 할 명분이 없다"며 "인천시가 제3연륙교를 놓고 싶다면 두 다리에 비용 보존을 해라"라는 내용으로 수 년째 끌어 오고 있다. 골든 타임을 놓친 인천공항은 접근로가 사실상 포화상태에 이르렀다.  

심지어 공항철도 요금은 인천 시민에게 바가지다. 공항철도 역시 민자이다. 이를 보존하기 위해 국토부가 시민의 호주머니를 노리고 있다. 편리한 교통 체계를 만들어야 할 정부의 역할을 철저히 감추고 민간 사업자의 눈치만 보는 국토부의 행태에 인천 시민은 천문학적 재산피해를 입고 있다.  

공항철도는 서울역부터 청라까지 수도권통합요금제 구간과 영종부터 인천공항까지는 독립요금제가 적용된다. 서울역-청라국제도시역 요금은 1850원, 다리 하나 건너 영종역은 2750원, 운서역은 3250원, 공항화물청사 3850원, 인천국제공항 4150원이다.

인천시 과제는 


인천공항에 인천시의 숙제는 두 가지다. 제3연륙교 건설과 공항 지분 확보이다. 인천국제공항의 3단계 확장공사가 마무리 단계다. 이를 통해 2017년부터 기존 교통량의 두 배 가량이 늘 것으로 보인다.  

현재 직접 접근교통체계인 영종대교와 인천대교도 포화 수준에 이를 것으로 추정된다.

시는 "공항의 안정적 운영 측면에서 2017년 이후 영종대교나 인천대교 중 어느 한 곳에서 문제가 생기면 공항 운영에 문제가 발생한다"며 "현 수준의 교통량으로 영종대교와 인천대교가 대체저 역할이 가능하지만 2017년 이후에는 불가능하다"고 분석했다. 시는 이를 근거로 제3연륙교가 적기에 건설돼야 한다는 입장이다.  

인천시 이상욱 주무관은 "인천공항의 안정적인 운영을 위해 기존 영종대교, 인천대교와 별도로 향후 수요 증가에 따른 대체접근수단이면서 지역교통수요를 분산시키는 간접접근교통체계 구축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인천에 있지만 인천에 없는 인천공항 문제는 꾸준한 지역 숙제이다. 인천이 아닌 정부 논리로 흔들리는 인천공항은 발전이 아닌 정체가 돼 있고, 정부 역시 재정 문제 등을 거론하며 인천공항의 재정 독립을 요구하고 있다.  

시는 인천공항의 지역 참여와 안정적인 경영을 위해 시가 공항 지분을 참여해야 한다는 논리다.

시는 인천국제공항공사법 제4조(주식)을 근거로 영종하늘도시유보지 60만7306㎡(약 18만평)을 현물출자하면 인천공항 지분 3% 이상을 확보할 것으로 전망했다.    
 
 
출처 : 인천일보          
 
 
 

 

부정클릭 감시중